2050 탄소중립 선택 아닌 필수…거스를 수 없는 세계 흐름

"2050 탄소중립은 산업과 에너지 구조를 바꾸는 담대한 도전이며,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서만 해결 가능한 과제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달 22일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복원력 있는 미래’를 주제로 열린 G20 정상회의 제2세션에서 “한국은 탄소중립을 향해 나아가는 국제사회와 보조를 맞추고자 한다”며 2050 탄소중립과 관련한 한국의 의지를 밝혔다.




18세기 후반 유럽에서 시작한 산업혁명으로 탄생한 에너지원 석탄·석유 등 화석연료. 사람들의 생활을 빠른 속도로 편리하게 바꿔줬으며 현대문명의 시대를 열었다. 하지만 이러한 빠른 발전은 지구를 병들게 하는 재앙이 됐다. 지난 50년간 화석연료로 인해 발생된 이산화탄소량은 지구 온난화, 기상이변 등 기후 위기를 불러왔다.   


한국의 산업구조와 사회는 화석연료 의존도가 높은 편이기 때문에 탄소중립의 실현은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탄소중립’은 이제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며, 기후위기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 세계가 함께 나아가야 할 방향이자 또 다른 기회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3일 청와대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기후위기 대응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피할 수 없는 일이라면 규제에 이끌려 가기보다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로 과감히 도전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탄소중립(넷-제로)이란 무엇일까?

탄소중립은 온실가스 배출을 최대한 줄이고, 남은 온실가스는 흡수(산림) 및 제거해서 실질적인 배출량이 0(ZERO)이 되는 개념이다. 즉 배출되는 탄소와 흡수되는 탄소량을 같게 해 탄소 순배출이 ‘0’이 되는 상태다. 탄소중립을 ‘넷-제로(Net-zero)’로 부르는 것도 이런 이유다.


2015년 12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 총회에서는 파리기후변화협약(파리협정)이 채택됐다. 이 협약은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함으로써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2℃보다 낮은 수준으로 유지한다는 목표에 각국이 협력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에 선진국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은 온실가스 감축에 동참하기로 결의했다. 세계 각국은 2016년부터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제출했고, 모든 당사국은 올해 연말까지 ‘파리협정 제4조 제19항’에 근거해 지구평균기온 상승을 2℃ 이하로 유지하고, 나아가 1.5℃를 달성하기 위한 장기저탄소발전전략(LEDS)를 제출해야 한다.


왜 2050년인가?

문 대통령은 지난달 27일 오전 청와대에서 주재한 2050 탄소중립 범부처 전략회의 모두발언에서 “2050년 탄소중립은 거스를 수 없는 세계적 대세가 됐다”며 “범정부 추진 체계부터 강력히 구축해 탄소중립 사회로의 이행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왜 2050년일까? 그 배경에는 지난 2018년 10월 인천 송도에서 열린 ‘IPCC(유엔 산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총회에서 만장일치로 채택된 ‘지구온난화 1.5℃ 특별보고서’가 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지구의 평균 기온이 1℃ 올라갈 때마다 옥수수, 쌀, 밀의 생산량은 약 3~7%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구의 온도를 인류생존 한계선인 평균 1.5℃로 맞추려면 오는 2050년까지 탄소 순배출량을 0으로 낮춰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후 세계 각국은 탄소중립을 선언하기 시작했으며, 세계 경제도 ‘저탄소 경제’로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


기후변화 문제를 설명할 때 ‘끓는 물 속의 개구리(boiling frog)’에 비유한다. 처음부터 끓는 물에 뛰어든 개구리는 목숨을 건지기 위해 바로 뛰쳐나오지만, 차가운 물 속에 넣고 열을 가열하면 점점 따뜻해지는 물 속에서 자신이 죽어가는지도 모른채 서서히 죽게 된다. 기후위기는 이제 국제사회의 문제이며 절대 간과해서는 안 되는 심각한 문제로 인류의 생존 자체를 위협하고 있다. 이 시기를 놓쳐서는 안 된다. 기후위기 대응, 선택이 아닌 필수인 이유다.


세계와 우리나라는 어떻게 준비하고 있나

세계 각국은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해 피할 수 없는 선택으로 탄소중립을 잇따라 선언하고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탄소중립을 법제화한 나라는 총 6개국이다. 스웨덴은 2045년까지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지난 2017년 6월 법제화를 마쳤다. 영국과 프랑스, 덴마크, 뉴질랜드도 지난해 법에 탄소중립을 명시했으며, 헝가리도 올해 탄소중립 법제화 국가 대열에 합류했다.


탄소중립 법제화까지는 아니지만, 장기저탄소발전전략(LEDS)를 통해 탄소중립 계획을 천명한 나라도 많다. 우선 지난해 12월 유럽연합(EU)은 ‘그린딜’을 통해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발표했고, 올해 중국은 2060년, 일본은 2050년을 목표로 탄소중립을 선언하는 등 전 세계가 기후위기 극복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도 자신의 누리소통망(SNS)을 통해 취임 직후 파리협정에 재가입하고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이루겠다고 약속했다.




우리나라도 국제사회의 탈탄소 흐름에 발 맞춰 무거운 책임감을 갖고 나아간다. 정부는 올해 7월 한국판 뉴딜 일환으로 ‘그린뉴딜’을 발표하며 탄소중립의 첫 걸음을 떼고, 10월 28일 문 대통령이 국회 시정연설에서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처음 공식화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지난달 22일 열린 G20정상회의 제2세션 의제발언을 통해 올해 안에 2050 탄소중립을 위한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LEDS)’을 마련하기로 했다고 소개했다. 아울러 27일 범정부 추진체계 구축과 관련,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대통령 직속 가칭 ‘2050 탄소중립위원회’를 설치할 것”이라며 “에너지 전환 정책이 더 큰 힘을 받을 수 있도록 산업통상부에 에너지 전담 차관을 신설하는 방안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2050 탄소중립’ 위해서…‘함께’ 해야하는 것들

저탄소 사회로의 이행은 개발도상국에 더 큰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선진국들이 기술과 경험을 적극적으로 나누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문 대통령은 녹색기후기금과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를 통해 개도국의 지속 가능 발전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정부는 내년에 한국에서 열리는 ‘제2차 P4G 정상회의’가 영국에서 열리는 제26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로 이어지는 디딤돌이 되기를 바란다.


‘2050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깨끗하게 생산된 전기·수소를 산업, 수송, 건물 등 모든 부문 이용 확대 ▲그린리모델링, 제로에너지빌딩 등 디지털 기술과 연계해 에너지 효율 향상 ▲혁신소재,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등 탈탄소 미래기술을 개발 ▲원료·연료의 재활용·재사용으로 지속가능한 순환경제 ▲산림, 갯벌, 습지 등 자연의 탄소 흡수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지난달 G20 의제발언에서 문 대통령은 “함께 행동해야 기후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며 “G20이 기후위기 대응에 더욱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세계는 코로나로 인해 연대의 필요성이 더욱 중요해졌고, 기후 위기도 긴밀한 협력과 공동 행동만이 기회로 바꿀 수 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작성자 소개
초이 프로필
WrapUp 블로거

초이

반려견을 좋아하고, 차를 좋아하고, 여행을 좋아하고, 맛집을 찾아 즐기는 웹 개발자 입니다^^